한스 요아힘 셸른후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요아힘 셸른후버는 독일의 기후 과학자이다. 그는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3년 포츠담 기후변화 연구소(PIK)를 설립하고 소장으로 재직하며 기후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셸른후버는 지구 온난화 2°C 방어선을 제안했으며,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멤버로 활동하며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기후 시스템의 임계점 분석, 배출량에 대한 예산 접근 방식 등 다양한 개념을 만들었으며, 유럽 연합 위원회 위원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의 컨설턴트, G8 수석 정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시민 사회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무신론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무신론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교황청 과학원의 회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교황청 과학원의 회원 - 닐스 보어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로, 원자 구조와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보어의 원자 모형 발표로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소 원자 스펙트럼을 설명했으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 코펜하겐 이론물리학 연구소 설립,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 등 양자역학의 철학적 해석에 기여, 맨해튼 계획 참여 및 핵무기 통제를 위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는 등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도 앞장섰다. - 1급 연방공로십자장 수훈자 - 질베르 베코
프랑스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인 질베르 베코는 니스 음악원 출신으로 레지스탕스 활동 후 작곡을 시작, 에디트 피아프의 발탁으로 데뷔하여 "Le Jour où la pluie viendra", "Et maintenant" 등의 히트곡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페라 작곡 및 영화 사운드트랙 참여, 독특한 피아노 연주와 남색 물방울 무늬 넥타이로 유명하다. - 1급 연방공로십자장 수훈자 - 프란츠 베켄바워
프란츠 베켄바워는 "Der Kaiser"라는 별명으로 불린 독일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 행정가로, 바이에른 뮌헨과 서독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발롱도르 수상, 월드컵 우승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도 독일 축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스 요아힘 셸른후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 요아힘 셸른후버 |
원어 이름 | Hans Joachim "John" Schellnhuber |
출생일 | 1950년 6월 7일 |
출생지 | 서독 바이에른주 오르텐버그 |
국적 | 독일 |
분야 | 대기과학, 기후학 |
직장 |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 포츠담 대학교 스톡홀름 회복센터 |
모교 | UC 샌타바바라 |
지도 교수 | 월터 콘 |
주요 업적 | 기후변화와 티핑 포인트 이론 연구 |
수상 | |
수상 내역 | 독일 환경상 (2007년) 볼보 환경상 (2011년) 블루플래닛상 (2017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 (2004) |
기타 |
2. 학력 및 경력
셸른후버는 고체 물리학, 양자 역학, 복잡계, 비선형성, 카오스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경력을 쌓았다. 포츠담 기후변화 연구소 (PIK) 소장, 틴들 센터 연구 소장, 옥스퍼드 대학교 객원 교수, 포츠담 대학교 교수, 산타페 연구소 외부 교수 등을 역임했다.
2. 1. 학력
셸른후버는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여 1980년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5] 1985년에는 하빌리타치온(교수 자격)으로 올덴부르크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자격을 취득했다. 1981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의 이론 물리학 연구소(ITP)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소장인 월터 콘 맞은편에서 연구했다. 콘은 그의 학문적 지도교수 중 한 명이 되었다.[6]2. 2. 경력
셸른후버는 원래 고체 물리학과 양자 역학에 관심이 있었으나, 복잡한 시스템과 비선형성 또는 카오스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6] 올덴부르크 대학교의 해양 환경 화학 및 생물학 연구소 정교수이자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해류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참여했다.[7]1991년, 포츠담 기후변화 연구소(PIK)를 설립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1993년에 소장이 되어 오늘날 30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후 연구소 중 하나로 성장시켰으며, 학제간 접근 방식을 따랐다.[8]
1995년에 셸른후버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2°C의 방어선을 제안했는데, 이는 처음에는 독일 정부와 유럽 연합에 의해 채택되었고, 2009년 코펜하겐 협정에 따라 전 세계 정부에 의해 글로벌 목표로 채택되었다.[9][10]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셸른후버는 영국 틴들 센터의 연구 소장을 역임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객원 교수가 되었다.[11][12]
셸른후버는 포츠담 대학교 교수였으며,[13] 미국 산타페 연구소의 외부 교수였다.[14]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오랜 멤버로서, 셸른후버는 IPCC의 제3차 평가 보고서 제2 실무 그룹의 종합 장의 조정 주 저자였다. 그는 지속적인 지구 온난화의 심각한 결과에 대해 경고했다.[15] 기후 임계점에 대한 전문가로서, 그는 이 주제에 대한 대중 연설가이다.[15][17][18][19][20]
2017년, 셸른후버는 2020년까지 기후 행동이 취해지지 않으면 세계가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21]
3. 주요 업적
셸른후버는 기후 시스템의 임계 요소 분석,[6][22][23] 타오르는 불씨,[24][25] 배출량 예산 접근 방식과 같은 개념을 만들었다.[26] 1995년에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2°C 방어선을 제안했는데, 이는 독일 정부와 유럽 연합에 의해 채택되었고, 2009년 코펜하겐 협정에 따라 전 세계 정부에 의해 글로벌 목표로 채택되었다.[9][10]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IPCC)의 일원으로서, IPCC의 제3차 평가 보고서 제2 실무 그룹의 종합 장의 조정 주 저자였다. 그는 지속적인 지구 온난화의 심각한 결과에 대해 경고했으며,[15] 기후 임계점에 대한 전문가이다.[15][17][18][19][20] 2017년에는 2020년까지 기후 행동이 취해지지 않으면 세계가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21]
4. 수상 및 서훈
5. 시민 사회 참여 및 봉사
셸른후버는 조제 마누엘 바호주 전 유럽 연합 위원회 위원장의 컨설턴트로 활동했다.[37] 2007년에는 독일의 EU 의장국 및 G8 의장국 임기 동안 기후 및 관련 문제에 대한 수석 정부 고문을 맡았다.[38]
2007년, 셸른후버는 포츠담에서 "노벨 원인 - 글로벌 지속 가능성에 관한 노벨상 수상자 심포지엄 시리즈"를 시작했다.[39] 이 심포지엄은 모든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들과 주요 지속 가능성 과학자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행사였다. 2009년 런던, 2011년 스톡홀름에서도 개최되었으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지속 가능성 고위급 패널이 회의에 참석하여 2012년 리오+20 회의에 제출된 각서를 받았다.[40]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원국인 파키스탄과 영국의 요청으로 셸른후버는 아리아 공식에 따라 이사회 회의에서 연설했다.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이 회의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참석했다.[50] COP19 준비 과정에서 셸른후버는 의장인 마르친 코롤렉 폴란드 환경부 장관과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51]
셸른후버는 2005년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사고 변화를 촉구하는 포츠담 덴크슈리프트에 서명했다.[57]
6. 저서 및 논문
Hans Joachim Schellnhuber|한스 요아힘 셸른후버영어는 250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50권의 책 또는 책 챕터를 저술, 공동 저술 또는 편집했다.[59]
주요 저서 및 논문은 다음과 같다:
- Schellnhuber, H., Obermaier, G. (1980).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Diamagnetic Band Structure". ''Physical Review Letters'', 45(4), 276–279.
- Schellnhuber, H. J., Cruzen, P.J., Clark, W.C., Claussen, M., Held, H. (Eds.) (2004). ''Earth System Analysis for Sustainability''. MIT Press.
- Schellnhuber, H. J., Wenzel, V. (1998). ''Earth System Analysis: Integrating Science for Sustainability''. Springer Verlag.
- Schellnhuber, H. J. et al. (Eds.) (2006). ''Avoiding Dangerous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nton, T. M., Held, H., Kriegler, E., Hall, J. W., Lucht, W., Rahmstorf, S., Schellnhuber, H. J. (2008). "Inaugural Article: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s climate syste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5(6), 1786–1793.
- Schellnhuber, H. J. et al. (2009). ''Solving the climate dilemma: The budget approach''. WBGU Special Report.
- Hall, J., Held, H., Dawson, R., Kriegler, E., Schellnhuber, H. J. (2009). "Imprecise probability assessment of tipping points in the climate system". ''PNAS'', 106(13), 5041–5046.
- Rockström, J. et al. (2009). "A safe operating space for humanity". ''Nature'', 461(7263), 472–475.
- Schellnhuber, H. J. (2009).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 Syste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49), 20561–20563.
- Reid, W. V., Chen, D., Goldfarb, L., Hackmann, H., Lee, Y. T., Mokhele, K., Ostrom, E., Raivio, K., Rockström, J., Schellnhuber, H. J., Whyte, A. (2010). "Earth System Science for Global Sustainability: Grand Challenges". ''Science'', 330(6006), 916–917.
- Schellnhuber, H. J, Molina, M., Stern, N., Huber, V., and Kadner, S. (Eds.) (2010). ''Global Sustainability – A Nobel Ca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chellnhuber, H. J. (2010). "The road from Copenhagen: the expert's views". ''Nature Climate Change'', 1(1002), 15–17.
- Gleick, P. H. et al. (2010). "Climate Change and the Integrity of Science". ''Science'', 328(5979), 689–690.
- Schellnhuber, H. J. (2010). "Tragic Triumph". ''Climatic Change'', 100(1), 229.
- Kropp, J. P., Schellnhuber, H. J. (Eds.) (2011). ''In Extremis: Disruptive Events and Trends in Climate and Hydrology''. Springer Verlag.
- Richardson, K., Steffen, W., Liverman, D. et al. (2011). ''Climate Change: Global Risks, Challenges and Deci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offmann, M., Worm, B., Rahmstorf, S., Schellnhuber, H. J. (2011). "Declining ocean chlorophyll under unabated anthropogenic CO2 emissions". ''Environ. Res. Lett.'', 6(3), 034035.
- Schellnhuber, H. J. (2011). "Vorwärts zur Natur". ''Frankfurter Allgemeine Sonntagszeitung'', 17, 28.
- Schellnhuber, H. J. et al. (2011). ''World in Transition – A Social Contract for Sustainability''. WBGU Report.
- Schellnhuber, H. J. (2011). "Geoengineering: The good, the MAD, and the sensibl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51), 20277–20278.
- Hoffmann, M., Worm, B., Rahmstorf, S., Schellnhuber, H. J. (2011). "Declining ocean chlorophyll under unabated anthropogenic CO2emission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6(3), 034035.
- Donges, J. F., Donner, R. V., Trauth, M. H., Marwan, N., Schellnhuber, H.J., Kurths, J. (2011). "Nonlinear detection of paleoclimate-variability transitions possibly related to human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51), 20422–20427.
- Schellnhuber, H. J. (2011). "Geoengineering: The good, the MAD, and the sensibl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51), 20277–20278.
- Kundzewicz, Z. W. et al. (2012). ''Changing Flood Risk in Europe – Setting the Stage''. In: Kundzewicz, Z. W. (Ed.) (2012). ''Changing Flood Risk in Europe''. IAHS Press.
- Schellnhuber, H.J., Hare, W., Serdeczny, O. et al. (2012). ''Turn Down the Heat – Why a 4 °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Report commissioned by the World Bank.[60]
- Olloncheck, D., Hoffmann, M., Worm, B., Schellnhuber, H. J. (2013). "Decomposing the effects of ocean warming on chlorophyllaconcentrations into physically and biologically driven contribution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8(1), 014043.
- Ludescher, J., Gozolchani, A., Bogachev, M. I., Bunde, A., Havlin, S., Schellnhuber, H. J. (2013). "Improved El Nino forecasting by cooperativity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0(29), 11742–11745.
- Piontek, F., Müller, C., Pugh, T. A. M., Clark, D. B., Deryng, D., Elliott, J., Colon Gonzalez, F. D. J., Flörke, M., Folberth, C., Franssen, W., Frieler, K., Friend, A. D., Gosling, S. N., Hemming, D., Khabarov, N., Kim, H., Lomas, M. R., Masaki, Y., Mengel, M., Morse, A., Neumann, K., Nishina, K., Ostberg, S., Pavlick, R., Ruan, A. C., Schewe, J., Schmid, E., Stacke, T., Tang, Q., Tessler, Z. D. (2013). "Multisectoral climate impact hotspots in a warming worl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3233–3238.
- Schellnhuber, H. J., Frieler, K., Kabat, P. (2013). "The elephant, the blind, and the intersectoral intercomparison of climate impac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3225–3227.
- Rockström, Johan et al. (2017). "A roadmap for rapid decarbonization". ''Science'', 355(6331), 1269–1271.
- Steffen, et al. (2018). "Trajectories of the Earth System in the Anthropocene". ''PNAS'', 115(33), 8252–8259.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pik-potsd[...]
2009-01-03
[2]
논문
Profile of Hans Joachim Schellnhuber
[3]
웹사이트
WBGU: WBGU Council Members 2013–2016
http://www.wbgu.de/e[...]
Wbgu.de
2013-12-28
[4]
웹사이트
Hans Joachim (John) Schellnhuber appointed as IIASA Director General
https://iiasa.ac.at/[...]
[5]
웹사이트
Curriculum at Forum: Science and Innov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stainabilit[...]
2021-10-11
[6]
논문
Profile of Hans Joachim Schellnhuber
[7]
웹사이트
WBGU: Prof. Dr. Hans Joachim Schellnhuber
http://www.wbgu.de/e[...]
Wbgu.de
2013-12-28
[8]
웹사이트
Portrait of the Institute – PIK Research Portal
http://www.pik-potsd[...]
Pik-potsdam.de
2013-12-28
[9]
서적
Avoiding Dangerous Climate Change : Climatology and climate change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2-28
[10]
논문
Greenhouse-gas emission targets for limiting global warming to 2 °C
[11]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Gazette, 24 November 2005: Notices
http://www.ox.ac.uk/[...]
Ox.ac.uk
2013-12-28
[12]
웹사이트
Environmental Change Institute (ECI) – Oxford University
http://www.eci.ox.ac[...]
Eci.ox.ac.uk
2013-12-28
[13]
웹사이트
PULS – Potsdamer Universitätslehr- und Studienorganisationsportal – Prof. Dr. Hans-Joachim Schellnhuber
https://puls.uni-pot[...]
Puls.uni-potsdam.de
2013-12-28
[14]
웹사이트
Hans Joachim (John) Schellnhuber | Santa Fe Institute
http://www.santafe.e[...]
Santafe.edu
2013-12-28
[15]
뉴스
CLIMATE CHANGE: Four Degrees of Devastation
http://www.ipsnews.n[...]
IPS
2013-12-28
[16]
논문
Profile of Hans Joachim Schellnhuber
2008-02-12
[17]
웹사이트
Timothy M. Lenton & Hans Joachim Schellnhuber
http://sciencewatch.[...]
ScienceWatch.com
2013-12-28
[18]
뉴스
Scientist: Warming Could Cut Population to 1 Billion
http://dotearth.blog[...]
2010-05-04
[19]
웹사이트
Professor Schellnhuber of the Potsdam Institute talks pre industrial carbon levels for safe climate
http://beyondzeroemi[...]
Beyond Zero Emissions
2013-12-28
[20]
뉴스
German Scientist Warns Climate Change Accelerating | Germany
http://www.dw-world.[...]
Dw-world.de
2013-12-28
[21]
뉴스
Twelve years to save Earth? Make that 18 months
https://www.bbc.com/[...]
2019-07-24
[22]
논문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 System
[23]
논문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s climate system
[24]
논문
Tipping the scales
Nature
2007-11-22
[25]
논문
Assessing dangerous climate change through an update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asons for concern"
http://www.pnas.org/[...]
2013-12-28
[26]
간행물
WBGU: 2009-09-01 Press Release
http://www.wbgu.de/e[...]
Wbgu.de
2013-12-28
[27]
웹사이트
New UEA professor awarded top science honour
http://www.uea.ac.uk[...]
Uea.ac.uk
2013-12-28
[28]
뉴스
Potsdam climate expert Hans Joachim Schellnhuber becomes Chief Government Advisor – PIK Research Portal
http://www.pik-potsd[...]
Pik-potsdam.de
2013-12-28
[29]
웹사이트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http://www.nasonline[...]
Nasonline.org
2013-12-28
[30]
웹사이트
List of Members
https://www.leopoldi[...]
2020-04-22
[31]
웹사이트
Volvo Environment Prize – Laureate 2011
http://www.environme[...]
Environment-prize.com
2013-12-28
[32]
웹사이트
Bundesverdienstkreuz für Klimaforscher Hans Joachim Schellnhuber und das Vogelschützer-Ehepaar Litzbarski
http://www.stk.brand[...]
Stk.brandenburg.de
2013-12-28
[33]
웹사이트
Nyheder – Københavns Universitet
http://www.nat.ku.dk[...]
Nat.ku.dk
2013-12-28
[34]
웹사이트
Stabsstelle Presse, Öffentlichkeitsarbeit und Alumni : Medieninformation Nr. 153/2012
http://www.presseste[...]
Pressestelle.tu-berlin.de
2013-12-28
[35]
웹사이트
Cicero Ranking 2012 – Günter Grass und Alice Schwarzer spitze | Cicero Online
http://www.cicero.de[...]
Cicero
2013-12-28
[36]
웹사이트
2017 Blue Planet Prize Commemorative Lectures
http://www.af-info.o[...]
af-info.or.jp
2017-08-09
[37]
간행물
Press release – World renowned experts to advise President Barroso on energy and climate change
http://europa.eu/rap[...]
Europa.eu
2013-12-28
[38]
웹사이트
G8 Summit 2007 Heiligendamm – Climate change experts to advise German government
http://www.g-8.de/nn[...]
G-8.de
2013-12-28
[39]
웹사이트
Welcome to the Nobel Cause Symposium Series – Nobel Cause Symposium
https://web.archive.[...]
Nobel-cause.de
2013-12-28
[4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6-28
[41]
웹사이트
Home – Deutsche Bank Responsibility
https://web.archive.[...]
Banking-on-green.com
2013-12-28
[42]
웹사이트
European Institute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 Newsroom & Media
http://eit.europa.eu[...]
Eit.europa.eu
2013-12-28
[4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Report Warns of Dramatically Warmer World This Century
http://climatechange[...]
Climatechange.worldbank.org
2013-12-28
[44]
뉴스
World Bank Climate Change Report Says 'Turn Down The Heat' On Warming Planet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3-12-28
[45]
뉴스
World Bank warns of climate change disaster – Xinhua | English.news.cn
https://web.archive.[...]
News.xinhuanet.com
2013-12-28
[46]
웹사이트
Doha World Climate Summit: Schellnhuber gives talk to high-ranking representatives of states — PIK Research Portal
https://web.archive.[...]
Pik-potsdam.de
2013-12-28
[47]
뉴스
Green thinking takes root in midst of desert in Doha climate talks | John Vidal | Global development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13-12-28
[48]
뉴스
Qatar to set up climate centre
http://www.gulf-time[...]
Gulf Times
2013-12-28
[49]
웹사이트
Miniweb Earth League Startseite
http://www.hzg.de/mw[...]
Hzg.de
2013-12-28
[50]
뉴스
Climate Change's Links to Conflict Draws UN Attenti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12-28
[51]
뉴스
"So ein totaler Quatsch!"...
https://web.archive.[...]
Die Zeit
2014-02-06
[52]
간행물
Recognizing the Elephant in the Room: Future Climate Impacts across Sectors
http://www.pik-potsd[...]
PIK Research Portal
2013-12-16
[53]
논문
Water risk as world warms
2013-12-31
[54]
뉴스
'Whole world' at risk from simultaneous droughts, famines, epidemics: scientists
https://www.theguard[...]
2013-12-17
[55]
웹사이트
Impacts World 2013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Effects, Potsdam, 27–30 May
https://web.archive.[...]
2014-02-06
[56]
웹사이트
Governing Board :John Schellnhuber,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https://web.archive.[...]
Climate-KIC
2014-02-06
[57]
웹사이트
Potsdam Denkschrift - Potsdam Manifesto 2005
http://www.vdw-ev.de[...]
2021-10-11
[58]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 PIK Research Portal
http://www.pik-potsd[...]
Pik-potsdam.de
2013-12-28
[59]
웹사이트
Short Biography – PIK Research Portal
https://web.archive.[...]
Pik-potsdam.de
2013-12-28
[60]
웹사이트
Turn Down the Heat – Why a 4 °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A Report commissioned by The World Bank
http://www.worldbank[...]
[61]
웹사이트
http://www.pik-potsd[...]
[62]
논문
Profile of Hans Joachim Schellnhuber
[63]
웹사이트
WBGU: WBGU Council Members 2013–2016
https://web.archive.[...]
Wbgu.de
2013-12-28
[64]
저널
Profile of Hans Joachim Schellnhuber
http://www.pnas.org/[...]
2008-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